난 즐거워... 개발이...

  • 홈

Frontend/CSS & SCSS & SASS 1

px을 em, rem으로 변경하는 법 ( feat. sass:math )

- PX Pixel 은 대게 absolute lenth ( 절대 길이 ) 라고 부른다. -> 다른 요소들의 크기와 상관없이 동일한 값을 가진다. ( 화면 해상도에 따라 다를 수 있음. ) but. px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글꼴 크기 설정을 무시해버리는 상황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. 보통 브라우저의 default 사이즈는 16px이다. px을 사용하게 되면 모든 브라우저 설정값들을 덮어쓰기때문에, 루트 글꼴 크기는 무시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개발자,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문제가 있는 UI가 만들어질 수 있다. 이러한 것들을 방지하고자 rem, em 단위를 사용한다. - REM 브라우저의 root 글꼴 크기의 배수를 적용. ex) root 글꼴 크기가 16px인 경우. 16px = 1rem ..

Frontend/CSS & SCSS & SASS 2023.05.16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난 즐거워... 개발이...

강아지 발 아니고 개발입니다.

  • 분류 전체보기 (20)
    • 알고리즘 (11)
      • 백준 (9)
      • SW Expert Academy (2)
    • Frontend (9)
      • React (0)
      • Javascript & Typescript (0)
      • CSS & SCSS & SASS (1)
      • Apache Echarts (4)
      • React-slick (2)
      • Recoil (1)
      • react-window (1)

Tag

apace echarts, selectorFamily, react-virtualized, apache, Carousel, react-slick-slider, react-window, Apache Echarts, echarts, px2rem, line chart, useEffect, react-slick, px2em, echart, react, 대규모 데이터, Chart, TypeScript, slick-slider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5/05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